ADVERTISEMENT 광고 이미지
별별소식

멸종 위기 '박제사', 동물 표본에 생명을 불어넣다





 
생물 종에 대한 귀중한 표본 자료를 반영구적으로 보존하는 중요한 기술인 '박제'가 국내에서 소멸 위기에 처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때 국가 공인 자격증까지 존재했으나 현재 이 자격증 보유자는 50여 명에 불과하며, 2019년 이후로는 박제 기술을 교육하는 학과나 학원조차 사라진 실정이다.
 
박제 작업은 유독성 화학 약품을 다루고 고된 공정이 많아 기피 직업으로 인식되면서 후계자 양성이 전무한 상태다. 현재 활동 중인 박제사들 대부분이 고령이며, 이대로라면 십수 년 내에 국내 박제 기술이 '로스트 테크놀로지'가 될 수 있다는 비관적인 전망까지 나온다.
 
이러한 암울한 현실 속에서 서울대공원 소속의 젊은 여성 박제사 윤지나 씨가 한 줄기 희망으로 주목받고 있다. 윤 박제사는 어린이대공원의 시베리아 호랑이 '낭림', 서울대공원의 호랑이 '강산', 회색늑대 '말승냥이' 등 고난이도 작품들을 성공적으로 제작하며 뛰어난 실력을 입증했다. 그녀의 활약은 사라져가는 국내 박제 기술의 명맥을 잇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리스트로 돌아가기